인프라

Linux 기본 명령어 df, du

나는웅쓰 2024. 11. 24. 01:50
반응형

안녕하십니까, 웅쓰입니다.

오늘은 간단한 리눅스 문법을 정리하고자 글을 쓰게 되었습니다.

실무에서 서버를 관리할 때 현재 용량은 얼마나 남았는지, 디렉터리의 용량을 얼마나 되는지 등의 내용들을 파악할 수 있어야 합니다. 이런 중요한 내용들을 찾을 수 있는 명령어를 가볍~~게 한 번 정리해 보겠습니다!

 

 

목차

  • df
  • du

 

1. df

df 명령어는 Linux와 Unix 계열 시스템에서 파일 시스템의 디스크 사용량을 확인하는데 사용된다. 굳이 Windows에 비유하자면 C드라이브나 D드라이브 등의 사용량을 확인하는 것과 비슷하다. 웹 서버가 돌아가는 디스크의 사용량이 100%가 되면 당연히 웹 서비스에 문제가 발생할 것이기 때문에 항상 디스크 사용량 체크를 잘 해줘야 한다.

 

위 내용으로도 충분히 사용량 정도는 파악할 수 있지만 필자는 여기서 두 가지 옵션을 더 붙여서 사용하는 것을 선호한다.

 

1) -P

화면 출력 시 줄바꿈 현상을 방지해준다. 가끔 파일시스템명이 길어서 줄바꿈이 되어 출력이 될 때도 있다. 줄바꿈이 된다는 것은 출력 형식이 유동적이라는 말인데, 그러면 파싱을 하기 어려워진다.(awk을 사용한 파싱)

-P 옵션을 사용하면 줄바꿈 없이 고정적인 형태로 출력을 할 수 있다.(파싱 가능)

 

2)-h

디스크 크기와 사용량을 KB, MB, GB로 변환해 표시한다. 이 옵션이 사용량을 더 직관적으로 볼 수 있게 해준다.

 

df -Ph를 한 결과를 보면,

 

파일 시스템명이 짧아 -P 옵션의 효과는 보이지 않았지만 -h 옵션 덕분에 좀 더 직관적으로 출력된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2. du

du 명령어는 Linux와 Unix 계열 시스템에서 특정 디렉터리나 파일이 차지하는 디스크 공간의 크기를 보여준다. 이 명령어를 통해서 어떤 파일이나 디렉터리가 용량을 많이 차지하는지 파악할 수 있다.

 

기본 사용법

du [옵션] [파일/디렉터리]

 

du도 df랑 마찬가지로 옵션을 사용할 수 있는데, 필자는 항상 딱 두 가지 옵션만 사용한다.

 

1) -s

지정한 디렉터리나 파일의 총 크기만 출력한다.

 

2) -h

디스크 크기를 KB, MB, GB 단위로 변환해 표시한다.

 

고로 du -sh 명령어를 사용하면 "특정 디렉터리나 파일의 디스크 크기를 KB, MB, GB 단위로 변환해서 표시해줘."라고 명령을 하는 것과 같다.

 

옵션 뒤에는 파일 or 디렉터리 명을 붙이면 되는데, 필자는 용량을 알고 싶은 디렉터리나 파일 위치에 가서 * 명령어를 사용하는 것을 선호한다. 

 

*는 현재 디렉터리의 하위 항목 크기를 보여주는 특수문자다.

 

필자가 좋아하는 상황을 예로 들어보겠다.

/var/spool 하위를 들어가 보니 다음과 같은 디렉터리들이 존재했다.

 

필자는 spool의 총 사용량보다 spool 하위 디렉터리인 위 6개 각각의 디렉터리 용량을 확인하고 싶다. 그럴때 spool 디렉터리까지 접근한 후 하위 항목 크기를 확인할 수 있는 *를 사용하면 다음과 같은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du -sh *는 짱이다!

반응형